선형(linear) vs 비선형(Nonlinear), 헷갈리지 않게 구분하는 초간단 판단법

 

썸네일 이미지

1. 글을 시작하며

수학, 물리, 공학 문제를 풀다 보면 ‘이 식이 선형인지 비선형인지’를 구분해야 하는 순간이 꼭 찾아옵니다.
많은 분들이 그래프가 직선이면 선형, 곡선이면 비선형이라고 단순하게 생각하지만, 이 방법만으로는 정확한 판단이 어렵습니다.

실제로는 중첩의 원리, 수학적 형태, 그리고 변수 관계를 함께 살펴야 합니다.
오늘은 초보자도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선형·비선형 구분 기준예시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

2. 선형과 비선형의 기본 개념

  • 선형(Linear): 입력이 2배면 출력도 2배, 입력이 합쳐지면 출력도 합이 되는 관계.
  • 비선형(Nonlinear): 이런 단순 비례·합 관계를 따르지 않는 경우.

3. 구분 기준

(1) 중첩의 원리(Superposition Principle)

선형이 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모두 성립해야 합니다.

가법성(Additivity)

x1y1, x2 → y2라면,
x1+x2y1+y2가 되어야 함. 

동차성(Homogeneity)

입력 xk배 하면 출력도 k배 되어야 함.

(2) 수학적 형태

  • 선형: 변수(미지수)가 1차로만 나타남.

    • 예) y=2x+3y = 2x + 3, y=5x12x2y = 5x_1 - 2x_2

  • 비선형: 제곱, 변수 곱, 지수·로그·삼각함수 포함.

    • 예) y=x2, y=exy = e^x, y=x1x2y = x_1 x_2


(3) 그래프 모양

  • 선형: 직선(2차원) 또는 평면(다변수일 경우)

  • 비선형: 곡선, 굴곡, 변곡점이 존재


(4) 미분방정식에서의 구분

  • 선형 미분방정식: 종속변수와 그 미분항이 1차로만 나타남

    • 예) y+3y=
      y' + 3y = 0

  • 비선형 미분방정식: 변수 곱, 제곱, 비선형 함수 포함

    • 예) y+y2=
      y' + y^2 = 0


4. 빠른 판단 체크리스트

  • 변수 차수가 1인지 확인
  • 변수끼리 곱하거나 나눈 항이 있는지 확인
  • 제곱, 제곱근, 지수, 로그, 삼각함수 여부 체크
  • 중첩 원리가 성립하는지 테스트

5. 예시 표

선형/비선형 이유
y=2x+5y = 2x + 5 선형 변수 1차, 비례관계
y=x2y = x^2 비선형 제곱 포함
y=exy = e^x 비선형 지수함수 포함
y=3x14x2y = 3x_1 - 4x_2 선형 변수 1차, 가법·동차성 O
y+2y=0y' + 2y = 0 선형 미분항도 1차
y+y2=0y' + y^2 = 0 비선형 y2y^2 항 존재

6. 글을 마치며

선형과 비선형의 차이는 결국 입력과 출력이 비례하고 합이 성립하는가로 귀결됩니다. 변수 차수, 변수 간 곱, 지수·로그·삼각함수 여부를 확인하면 대부분 쉽게 분류할 수 있습니다.

특히 문제를 풀 때는 그래프 모양보다 중첩 원리와 수학적 구조를 먼저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면, 복잡한 식이나 방정식도 빠르게 판별할 수 있습니다. 


이상이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 

감사합니다. 



도도한 쭌냥이

전반적인 과학 분야와 엔지니어링 분야 등 다양한 주제에 관심이 많습니다.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