글을 시작하며
안녕하세요. 과학과 우주를 좋아하는 아빠 도도한 쭌냥이입니다.
농산물의 저온 저장시 발생할 수 있는 장해 현상에 대해서 알아보고, 제목 문제를
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.
장해 현상
저온 저장 시 다음과 같은 장해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저온 장애(Chilling Injury)
- 주로 열대 및 아열대 과일과 채소에서 발생하며, 저장 온도가 너무 낮을 때 세포막이 손상되어 나타남
- 갈변, 수분 손실, 표면의 패임, 조직 연화, 반점 발생 등
동상(Freezing Injury)
- 저장 온도가 농작물의 동결점 이하로 떨어질 때 발생
- 조직이 얼어서 물리적 손상이 발생하고 해동 후에는 세포가 파괴되어 물이 흐르거나 물컹해지는 현상
호흡 증가 및 에틸렌 생성
- 일부 농작물은 저온에서 비정상적으로 호흡이 증가하거나 에틸렌 가스를 과도하게 생성할 수 있음
- 조기 성숙, 과일의 연화, 색깔 변화
곰팡이 및 병원균
- 저온에서 대부분의 병원균은 활동을 멈추지만 저온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곰팡이 및 병원균들이 있음
- 곰팡이 및 부패 등
수분 손실
- 저온 저장 중 습도가 낮을 경우 농작물의 수분 손실이 발생
- 시들음, 주름 등
글을 마치며
온도가 낮고 건조한 환경에서 농산물별 적절한 환경을 유지하지 못하면 여러가지
장해 현상을 겪게 됩니다. 따라서 농산물의 열적특성을 이해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
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.
이상으로 문제 풀이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