글을 시작하며
안녕하세요. 과학을 좋아하는 아빠 도도한 쭌냥이입니다.
요즘 HOT한 저퀘도 위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저궤도 위성(Low Earth Orbit Satelite, LEO)
지구 표면에서 약 160km에서 2,000km 사이의 고도에서 궤도를 도는 인공위성을
의미합니다.
특징
- 짧은 공전 주기
저궤도 위성은 고도가 낮기 때문에 지구를 빠르게 돌며, 평균적으로 약 90분에서
120분 사이에 한 바퀴를 돕니다.
- 지구와의 근접성
저궤도는 지구에 매우 가깝기 때문에 위성과의 통신 지연(latency)이 최소화됩니다.
이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유리합니다.
- 높은 해상도
지표면에 가까이 있기 때문에 관측 장비의 해상도가 높아, 상세한 지표면 사진 및
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.
장점
- 통신 위성으로서의 역할
저궤도 위성은 지구와의 짧은 통신 지연 덕분에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, 인터넷
서비스, 전화 서비스 등의 통신 목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SpaceX의
Starlink 프로젝트는 저궤도 위성을 사용하여 전 세계에 인터넷 서비스를
제공하려고 합니다.
- 지구 관측 용이
저궤도 위성은 기상 관측, 환경 모니터링, 자연 재해 감시 등의 목적으로
사용됩니다. 고해상도 이미지와 신속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해, 실시간으로 지구의
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.
- 과학 연구용으로서 사용
저궤도는 천문학, 지구 과학 등의 연구를 위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는 데
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NASA의 Hubble 우주 망원경은 저궤도에 위치하여 우주
관측을 수행합니다.
- 군사적 목적으로서의 이용
저궤도 위성은 군사 정찰 및 정보 수집 목적으로도 사용됩니다. 고해상도 이미지와
신속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 전략적 정보를 빠르게 수집할 수 있습니다.
단점
- 짧은 수명 주기
저궤도 위성은 대기권에 가까워 대기 저항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
고도가 낮아져, 수명이 비교적 짧습니다.
- 잦은 발사
저궤도 위성의 수명이 끝나거나 고도를 유지하기 위해 추가적인 발사가 필요할 수
있습니다. 따라서 유지 비용이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좁은 커버리지
하나의 저궤도 위성은 지구의 일부분만을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, 전 지구를
커버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위성이 필요합니다. 따라서 비용이 많이 발생할 수
있습니다.
글을 마치며
한국에서도 스페이스 엑스의 스타링크와 같이 저궤도 위성을 사용한 통신망 구축을
연구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 대표 업체는 KAI와 한화시스템입니다.
앞으로 두 업체가 어떻게 연구를 진행하여 저궤도 위성을 적요할지 관심이 가는
상황이며 기회가 된다면 두 업체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비교해보는 글을
작성하여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.
이만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